정책명 | 청년내일저축계좌(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의 탈수급 지원) |
---|---|
정책번호 | 20250522005400210864 |
정책 분야 | 복지문화 |
지원 내용 |
ㅇ (사업 근거)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18조의8(자산형성 지원) ㅇ (추진 경과) - 2018년 청년희망키움통장 도입 - 2020년 청년저축계좌 도입 - 2022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사업 개편 (청년희망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 청년내일저축계좌) ㅇ (사업 기간) - 2025년 1월 ~ 12월 시행 ㅇ (사업 대상)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15세 이상 ~ 39세 이하 - 기준 중위소득 50%초과 ~ 100%이하, 19세 이상 ~ 34세 이하 ㅇ (사업 내용) - 차상위 이하(수급자 포함) ‣ 본인저축액 : 월 10만원 이상 자율저축 (10만원 ~ 50만원까지) ‣ 정부지원액 : 30만원 (3년 평균 적립액 : 1,440만원+이자) - 차상위 초과 ‣ 본인저축액 : 월 10만원 이상 자율저축 (10만원 ~ 50만원까지) ‣ 정부지원액 : 10만원 (3년 평균 적립액 : 720만원+이자) ㅇ (사업비) 88,221백만원 (국비 60,151, 지방비 28,070) ※ 매칭비율 60:28:12 - 청년내일저축계좌 81,286백만원 (국비 55,422 지방비 25,864) |
사업 운영 기간 | 2025년 01월 01일 ~ 2025년 12월 31일 |
사업 신청 기간 | 2025년 04월 01일 ~ 2025년 04월 30일 |
지원 규모(명) | 0명 |
연령 | 만 15세 ~ 만 39세 |
---|---|
거주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특별시 광진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특별시 중랑구,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울특별시 강북구, 서울특별시 도봉구, 서울특별시 노원구,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서울특별시 동작구,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울특별시 송파구, 서울특별시 강동구 |
소득 | 1.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2. 기준 중위소득 50%초과 ~ 100%이하 |
학력 | 제한없음 |
전공 | 제한없음 |
취업상태 | 재직자 |
특화분야 | 제한없음 |
추가사항 |
|
참여 제한 대상 |
|
신청 절차 |
|
---|---|
심사 및 발표 |
|
신청 사이트 | |
제출 서류 |
|
기타 정보 |
|
---|---|
주관 기관 | 복지기획관 |
운영 기관 | |
참고사이트 1 | |
참고사이트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