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청년뜰 청년센터

닫기

온통청년

한 눈에 보는 정책 요약

정책요약
정책명 서울청년문화패스 지원
정책번호 20250316005400210640
정책 분야 복지문화
지원 내용 ㅇ (사업 내용)
- 공연(연극/뮤지컬, 클래식/오페라, 무용, 국악) 및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 20만원 상당 문화이용권(카드) 지급
- 관람방법 : 서울청년문화패스 홈페이지에서 예매 후 관람
- 예매기준 : 예매 건당 7만원 이내 사용(추가금액 자부담)
※ 뮤지컬은 지원기간 중 1회만 예매 가능
사업 운영 기간 2023년 01월 01일 ~ 2026년 12월 31일
사업 신청 기간 2025년 03월 21일 ~ 2025년 04월 30일
지원 규모(명) 27000명

신청자격

정책요약
연령 만 20세 ~ 만 23세
거주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특별시 광진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서울특별시 중랑구,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울특별시 강북구, 서울특별시 도봉구, 서울특별시 노원구,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 구로구,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서울특별시 동작구,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울특별시 송파구, 서울특별시 강동구
소득 <생애최초> 중위소득 150% 이하, <기수혜자> 중위소득 120% 이하
학력 제한없음
전공 제한없음
취업상태 제한없음
특화분야 제한없음
추가사항 ㅇ (사업 대상)
- (연령 기준) 20~23세 ※ 제대군인 대상 복무기간을 감안하여 3년 이내 연령 가산
- (대상 인원) 1만9천명
- (소득 기준) <생애최초> 중위소득 150% 이하, <기수혜자> 중위소득 120% 이하
- (기타 조건)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등록대장상 서울 거주
참여 제한 대상

신청방법

정책요약
신청 절차 청년몽땅정보통(https://youth.seoul.go.kr)에서 온라인 신청
- 청년몽땅정보통 → 교육문화 → 서울청년문화패스 → 신청하기
- 상황에 따라 신청기간 연장 가능
※ 장애인 등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취약계층은 평일 업무시간(9~12시 / 13~18시) 콜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 (☎ 1533-3427)
※ 방문 신청이나 우편 신청 불가
심사 및 발표 □ 선정기준 : 아래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선정
ㅇ 1순위 : 생애 최초 수혜자
ㅇ 2순위 : 기수혜자(2023년 또는 2024년 수혜자
※ 자격을 갖춘 신청자가 선정인원보다 많을 경우 건강보험료 본인부담액이 낮은 순으로 선정
※ 서울시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 참여자가 신청하는 경우 지원조건 범위 내에서 우선 선발

□ 발표일 : 2025. 4. 14.(월) 예정
※ 발표일은 변동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청년몽땅정보통 공지사항 게시판 확인
□ 발표방법 : 개별 문자 발송 및 청년몽땅정보통 ‘마이페이지’ 확인
신청 사이트 https://youth.seoul.go.kr/youthConts.do?key=2310200023&sc_pbancSeCd=005&sc_bbsStngSn=2212200001&sc_bbsCtgrySn=2310200005&sc_qnaCtgryCd=&sc_faqCtgryCd=002
제출 서류 □ 동의서 작성(필수) : 개인정보 수집·이용, 고유식별정보 처리, 제3자 제공, 행정정보공동이용 동의
□ 제출서류 : 의무복무 제대군인 신청자 외에는 별도 제출서류 없음
ㅇ (의무복무 제대군인) 병적증명서 또는 병역사항이 기재된 주민등록초본
※ 원본 서류를 스캔 또는 다운로드 받아 업로드(화면 캡처, 사진 불인정)

기타

정책요약
기타 정보 □ 콜센터 : ☎ 1533-3427 [평일 업무시간(9~12시/13~18시) 이용가능]

□ 사업내용
ㅇ (사업 근거)
- 청년기본법 제23조(청년 문화활동 지원)
-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 조례 제16조(청년 문화의 활성화 등)
ㅇ (추진 경과)
-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완료(보건복지부→서울시) : ’22. 10. 5.
- 관련 조례 개정을 통한 재정적 지원 근거 마련 : ’22. 10. 17.
‣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 조례 제16조제3항(이용권 등 지급 규정) 신설
- 서울형 청년문화패스 기본계획 수립 : ’22. 11. 5.
- 서울시-서울문화재단-신한금융그룹 협약체결 : ’23. 2. 8.
- 문화체육관광부 청년문화예술패스 사업 시행 : ’24. 3. 28.
ㅇ (사업비) 5,847백만원 (지방비 5,847백만원)
- 문체부 청년문화예술패스 분담예산(1,311백만원) 포함
주관 기관 문화정책과
운영 기관
참고사이트 1 https://youth.seoul.go.kr/infoData/sprtInfo/view.do?key=2309130006&sprtInfoId=58450
참고사이트 2